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저 열심히 일하고 돈을 모으고 소비하는 이 생활패턴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요? 자본주의란 무엇이고 돈이란 무엇일까요?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어떤 모습이고 어떤 대응을 해야 할까요?
경제와 관련한 도서, 다큐, 영화들이 연일 쏟아져 나오고 있는 요즘 경제, 자본주의에 관련하여 제작된 국내외의 많은 다큐멘터리들 중 몇가지를 소개해 보려합니다.
1.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자본주의 관련한 다큐중 국내 가장 유명한 다큐멘터리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총 5부작으로 도서도 출판되어 있습니다.
- 1부: 돈은 빚이다.
- 2부: 소비는 감정이다.
-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지금까지 은행이란 단순히 돈을 예금하고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곳으로만 생각해 왔습니다. 화폐가 만들어지고 돈이 도는 시스템에 관한 이야기 부터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감정으로부터의 소비와 자본주의 철학의 역사까지.
쉽지만 광범위하게 자본주의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만들어진지 5년이 되어가는 다큐이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시청하는 다큐입니다. 현재 유투브에서 전편 시청 가능합니다.
2. KBS 걸작 다큐멘터리 <돈의 힘>
영국 BBC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로 총 6부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돈, 돈의 역사를 통해 금융위기와 금융사의 뒷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돈의 역사와 채권, 주식시장의 거품고 붕괴 부터 부동산과 신흥시장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금융위기와 버블현상을 역사적인 배경들을 토대로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 1부: 탐욕의 시작
- 2부: 지불약속
- 3부: 주식시장의 거품과 붕괴
- 4부: 위험한 거래
- 5부: 안전자산, 집
- 6부: 이머징마켓,차이메리카
3. MBC스페셜 <저성장시대에 살아남기>
저성장시대 장기적인 경제침체의 원인과 현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며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들에 관한 이야기를 총 2부에 걸쳐 풀어놓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제를 보면 우리나라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말을 하죠? 일본의 현상황을 보며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예측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줍니다.
- 1부: 텅 빈 지갑, 쓸 돈이 없다.
- 2부: 인구절벽을 넘어라.
4. MBC스페셜 <돈 모으고 싶으세요?>
미니멀리즘과 짠테크 같은 단어들을 많이 듣게 되는 요즘입니다. 투자를 통한 부의 축적보다 소비를 조절하여 부를 축적해야한다는 주장들이 많이 흘러나오는 요즘 현상을 반영한 다큐멘터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자본주의와 소비는 필연적으로 이어진 관계이죠. 수많은 물건들과 소비를 종용하는 다양한 마케팅의 유혹들에서 나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소비에 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싶다면 시청해 보시길 추천하는 다큐멘터리입니다.
5. MBC스페셜 <노후 생각해 보셨나요?>
인구절벽, 초고령화 시대와 같은 단어들 자주 접해보셨죠? 우리나라는 굉장히 빠른속도로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고령화와 저성장, 경제침체는 밀접한 관련이 있죠.
은퇴를 코앞에 둔 베이비세대와 많은 것을 포기하며 살아가는 N포 세대. 경제성장률은 자꾸 멈춰있고 인간의 수명은 길어지는 요즘, 우리는 어떻게 노후를 준비하며 살아가고 있나요? 정년퇴직은 언제쯤 하게 될까요? 퇴직 후 소득이 없어도 살아갈 수 있을까요?
노후에 대해 생각해 볼 다양한 질문거리를 던져주는 다큐멘터리입니다.
[영화 추천] - 경제에 관한 영화 4가지
경제 관련 다큐에 이어 경제 관련 영화들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다큐멘터리와 달리 관객수와 흥행이 중요한 것이 영화다 보니 금융계와 주가조작에 관한 소재들이 많다는 특성이 있네요. 1. 인
uwillbfine.tistory.com
TED : 행복을 위한 현명한 소비습관.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Michael Norton
TED : 행복을 위한 현명한 소비습관.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Michael Norton
돈과 행복은 얼마나 상관관계가 있을까? 우리는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하지만 Michael Norton에 의하면 사실 그건 틀렸다고 한다. 물론 마이클은 경제심리학자이고 이러
uwillbfine.tistory.com
댓글